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강아지가 자꾸 발을 핥는 이유와 문제점
    펫이야기 2023. 7. 1. 19:27
    반응형

    강아지가 발을 핥는 이유, 그것도 사탕 빨듯이 아주 맛있게 핥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발사탕이 정말로 맛있는 건 아닐 텐데 열심히 핥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강아지 발바닥의 말랑한 부분, 검은 젤리처럼 생긴 이 패드 부분은 강아지에게 아주 중요한 부위입니다. 발바닥 패드는 걸을 때 충격을 흡수해 주는 완충제 역할을 하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해주기도 합니다. 보통 이 부위에 상처가 나거나 습진이 생길 경우 발바닥을 핥을 수 있습니다. 강아지가 과도하게 발을 핥는다면 분명 어딘가 문제가 있는 것으로 주의 깊게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이외 여러 가지 이유로 발을 핥을 수 있으니 상세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강아지 산책 발까짐 주의
    강아지 산책 발까짐 주의

     

    발을 핥는 이유

    1. 청결과 자기 관리
      강아지는 자기 발을 핥음으로써 피부나 털을 청소하고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먼지, 오염물 또는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고 피부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행동입니다.
    2. 피부 문제 또는 가려움증
      강아지가 자기 발을 지속적으로 핥는다면 피부 문제나 가려움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알러지, 피부염, 진드기 또는 기타 피부 감염 등과 관련될 수 있으므로, 수의사의 진단과 조언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스트레스 또는 불안
      강아지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안한 상황에 처하면 자기 발을 핥는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강아지의 안정과 안심을 위한 자기 진정 행동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4. 단순한 행동 패턴
      일부 강아지는 자기 발을 핥는 행동을 단순한 습관이나 행동 패턴으로서 보여줄 수 있습니다. 이는 개개인의 특성과 성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발바닥 상처 원인과 문제점

    1. 날카로운 물체에 밟거나 걷는 도중에 뾰족한 물체에 찔리는 등의 상황에서 발바닥에 상처가 생길 수 있습니다.
    2. 겨울철에는 바닥에 뿌려지는 염화칼슘, 녹지않은 제설제로 인해 발바닥이 까질 수 있습니다. 발바닥에 묻은 제설제를 핥아먹을 경우에는 중독증세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산책 후에 발을 깨끗이 닦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강아지는 맨발로 다니는만큼 한여름 기온이 높을 때는 뜨거운 아스팔트 바닥으로 인해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낮기온이 너무 높을 때는 산책을 피하고 선선한 아침저녁에 산책을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4. 발바닥에 박테리아, 곰팡이로 인해 습진이 생기고 발바닥을 심하게 핥아 결국 상처가 생기고 피가 날 수도 있습니다.

     

    발에 상처나 습진이 생겼을 경우 증상

    발을 핥는 가장 큰 이유로 발바닥에 상처나 습진이 생겼을 경우를 들수 있습니다. 발바닥 미용 후에 산책을 할 경우에는 발바닥이 까지거나 상처를 입기 쉬운 환경에 노출됩니다. 이때는 강아지 신발을 신겨주거나 시멘트 바닥보다는 흙, 잔디 위주로 산책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무리하게 산책을 할 경우 강아가 발까짐으로 인해 발을 절뚝거린다거나, 걷는 것을 거부한다거나, 아파서 깨갱거릴 수 있습니다. 심할 경우 출혈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산책 후 발을 닦아주고 잘 말려주지 않으면 사람이 무좀에 걸리듯이 강아지들도 습진이 생겨 가렵고 아플 수 있습니다. 평소 발 세척 이후에는 잘 말려주시고 발전용 보습로션을 발라주거나 상처가 심할 경우에는 동물병원에 가셔야 합니다.

     

    강아지가 자기 발을 핥는 행동은 강아지의 개인적인 특성, 환경 및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강아지의 전반적인 행동 패턴과 병행되는 다른 증상이 있는지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강아지가 자기 발을 지나치게 핥거나 이로 인해 피부 문제가 발생한다고 생각되는 경우, 수의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으세요.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